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중간고사를 마치고 글을 적습니다.
이번에 이야기 해 볼 주제는 "숫자가 만드는 착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험공부를 꾸준히 하는 도중에도, 글을 적는 것만 안 할 뿐, 다른 분들의 글들을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사회 문제가 무엇이냐고 할 때, 세 손가락에 꼽는 사회문제 중 하나는 당연히 "저출산"입니다.
제가 최근에 읽은 글들 중 가장 충격적이게 다가온 글이 하나 있습니다.
4월에 가치투자연구소에 올라온 글 중,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대한민국에 위기가 아니라는 글이었습니다.
제조업에 치우친 산업 구조를 가진 대한민국의 경제와 노동 시장이 문제라는 주장을 하셨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 글에 이것은 한국의 위기라는 취지로 반박하는 댓글을 적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돌이켜보니 현재의 한국 저출산 문제는 단순히 노동력의 문제가 아닙니다.
나라의 존폐를 고민해야 합니다.
바로 여기서부터가 "숫자에 속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다시 되돌아봐야하는 순간입니다.
한국의 출산율
우리가 알고 있는 출산율이라는 숫자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네이버에 저출산, 출산율이라는 키워드 검색하기만 해도 뉴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75929?sid=101
2월 출생아 첫 '2만명' 붕괴...역대 최저 수준
올해 2월 출생아 수가 매년 같은 달 기준으로 처음으로 2만명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통계작성 이래 2월 기준 최저치다.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감안하면 올해 출
n.news.naver.com
대부분의 뉴스에서는 다음과 같이 출산율을 숫자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소폭 늘어난 지난해 상반기의 혼인 건수가 출생으로 이어지지 못하면
올해 ‘0.6명대’ 추락도 점차 가시권에 들어올 전망이 높다.
- 파이낸셜 뉴스 (상단 링크)
우선 합계출산율이라는 단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합계출산율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그럼 지금부터 합계출산율 0.72명이라는 숫자가 다르게 표현하면 어떻게 되는지 같이 보시죠.
단순 계산을 같이 해보겠습니다.
다음이 맞는지 틀린계산인지 같이 보시죠. (우리는 수학 잘하는 민족이니까?ㅋㅋ)
합계출산율 0.72명 = 여성 100명(G1)이 일생동안 72명의 아기(G2) 낳음.
(한 세대 이후)
다시 합계 출산율 0.72명 = 72명의 아기 * 0.72 = 약 51명 (G3)
따라서, 100명이었던 한 세대의 인구(G1)가 두 세대 이후, 한 세대의 인구(G3)가 51명이 된다.
맞는 계산인가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위 계산은 틀린 계산입니다.
추가 설명과 함께 올바르게 고쳐보겠습니다.
붉은 글씨를 주목하시면 됩니다.
합계출산율 0.72명 = 여성 100명(G1)이 일생동안 72명의 아기(G2) 낳음.
(한 세대 이후)
다시 합계 출산율 0.72명 = 72명의 아기 * 0.72 * 1/2 = 약 25명 (G3)
G2에서 남자, 여자로 성별이 나뉘기 때문에 여성의 인구가 절반으로 줄기 때문에 1/2을 곱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200명이었던 한 세대의 인구(G1)가 두 세대 이후, 한 세대의 인구(G3)가 25명이 된다.
G1에서도 남자의 인구를 고려해야합니다. 여자 100명이 아이를 낳으려면 남자 100명도 같이 필요합니다.
즉, 2024년 지금의 인구 200명이 두 세대만 지나면 25명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무슨 말인지 감이 오시나요?
두 세대만 지나도, 현재의 인구 12.5%만이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저출산이라는 것은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한국이 저출산으로 자연 소멸될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아직도 아무 생각 없이 문제가 없다. 그럭저럭 적응할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할 상황과 문제가 아닙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484172&memberNo=1388599&vType=VERTICAL
[팩트인사이드] 대한민국은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자연소멸국 1호’이다
[BY 중부일보] 전국 젊은층 유입 줄고 폐교 증가 유례없는 초저출산 기록 맞물려 온라인 커뮤니티에 ...
m.post.naver.com
대표이미지 출처 : by pixabay on pexels
P.S.
본 포스팅을 스크랩하고 싶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본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투자 참고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주관을 포함하여 서술한 글입니다. 따라서
- 절대로! 종목에 대한 매수 /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단순 참고용으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을 알립니다.
- 향후 주가 방향은 내용과 무관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
Read Invest,
Readin Best
beS2always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타이밍'이라는 변명 (0) | 2025.04.01 |
---|---|
[생각] 글이 뜸해졌던 이유 (ft. 운) (2) | 2024.03.01 |
[생각] 욕심, 갈망과 미련 사이 (0) | 2023.11.18 |
[생각] 23년도 연말이 다가오는 시점에서 드는 생각 (2) | 2023.11.10 |
[생각] 공매도 금지와 11월 6일 지수 급등를 보고 드는 생각 (0) | 2023.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