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 전까지 수험생이었어서 그런지 다른 산업에 비해 교육 산업에 대한 글이 이해하기 쉽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 글 주제도 사교육 시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음 글들도 같은 맥락 상의 글입니다. 한 번씩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3.07.07 - [생각] - [생각] 수능 킬러 문항 제거는 오히려 사교육 업계에는 이득이다
[생각] 수능 킬러 문항 제거는 오히려 사교육 업계에는 이득이다
안녕하세요. 최근 현 정부의 수능 킬러 문항 제거 강요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킬러 문항이 정말 제거가 된다면, 어떠한 수험생이 이득인지, 사교육 업계는 정말 그들의 의도대로 타격
readinvest.tistory.com
2023.07.29 - [생각] - [생각] 공부를 강요하는 한국 사회, 10년 후에는 어떨까?
[생각] 공부를 강요하는 한국 사회, 10년 후에는 어떨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의 머릿속을 조금 정리하고자 글을 적습니다. 이번에 고민해 본 내용은 10년 후에는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은 어떨까에 대해서입니다. 편안한 투자를 하기 위해서 여러
readinvest.tistory.com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사교육 시장이 망할 것 같진 않았습니다. 사람 심리가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근데 저는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도저히 생각이 안 났습니다.
근데 텔레그램 주식방에서 다음 글을 읽고, 드디어 정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사교육 시장이 결코 망하지 않는 이유]
한때 상류층의 사교육을 낱낱이 파헤친 드라마 <SKY캐슬>열풍이 분 적이 있다. 꼭 상류층이 아니라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참 힘들게 산다. 왜 청소년들은 학교 교육을 꼬박꼬박 다 받고 나서 지친 몸을 이끌고 학원으로 달려가야 할까? 공부하는 시간을 좀 줄이고, 꿈을 키우는 교육을 받을 수는 없을까?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한국에서 유난히 번성하는 사교육 또한 이 죄수의 딜레마 상황이기 때문이다.
사교육을 받으면 성적이 오를까? '아무래 안 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나뿐 아니라 모두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모두 다 사교육을 받는다면 결국 성적이 오를 확률도 사라진다. 성적은 상대평가로 주어지는 것인데, 모든 사람이 사교육을 받았으니, 사교육을 안 받았을 때보다 내 성적이 높아질 확률이 거의 없는 것이다.
728x90
그렇다면 모두 함께 사교육을 받지 않는 것이 사회 전체적으로 분명히 더 행복한 선택이다.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청소년 시기에 배워야 할 놀이 문화를 통해 공동체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그런데 아무도 "내가 먼저 사교육을 받지 않겠어요."라고, 선언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 이유가 뭐냐고? 죄수의 딜레마를 떠올리면 된다. 사람들은 친구가 사교육을 받건 안 받건 나는 무조건 사교육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한다. 이런 이유로 모든 사람이 동시에 사교육을 받는다. 그 결과 받아 드는 성적표는 모두가 사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다. 괜히 사교육을 받는다고 헛돈만 쓴 것이다.
#쓸모있는경제학 #이완배지음
출처 : https://t.me/JBSTOCKPAWNSHOP/7222
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죄수의 딜레마' 때문에 학생들과 부모님은 어쩔 수 없이(?) 사교육을 계속 해서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다음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딜레마 상황 (단, 사교육을 받는 것이 입시에 유리하다는 생각을 모두가 가져야 함.) |
자신의 사교육 X | 자신의 사교육 O |
경쟁자들의 사교육 X |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 | 나 : 유리 친구 : 불리 |
경쟁자들의 사교육 O | 나 : 불리 친구 : 유리 |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 |
위의 표에서처럼, 내가 대학 입시라는 경쟁에서 가장 유리한 상황은 내가 사교육을 하는 동시에 친구는 사교육을 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내가 사교육을 안 받았는데 친구들이 사교육을 받는다면? 내가 그들보다 불리한 최악의 케이스입니다.
사실 모두에게 행복하고 이상적인 상황은 다 같이 사교육 안 받고 덜 공부하고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이기적인 선택을 하는 법.
그래서 선택의 결과는 모두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을 할 것임을 알면서도 모두 다 같이 사교육을 받는 선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의 전제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입시생들 사이에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경쟁이 존재한다.
2) 사교육을 하면 입시에 유리하다는 기분을 준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번이 있으면, 사실 2번은 자연스레 따라오겠죠.
저의 앞선 글에서 적었다시피, 1번은 엎어질 수가 없다고 봅니다.
2023.07.29 - [생각] - [생각] 공부를 강요하는 한국 사회, 10년 후에는 어떨까?
그럼 2번은 자연스레 따라오겠죠.
부모 입장에서는 자녀 교육을 위해 사교육에 돈을 썼습니다. 기대하는 서비스는 자녀의 공부(학습)입니다.
학생 입장에서는, 또다른 수업을 듣고, 문제도 풀고, 효율이 안 좋더라도 겉치레라도 공부하는 데에 시간을 썼습니다. 공부하는 기분이 납니다.
이래서 사람 심리가 무서운 거죠...ㅋㅋㅋ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에는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관련 기업들을 잠시 살펴보겠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표지 사진 출처: Unsplash, photo by Jon Tyson
P.S.
본 포스팅을 스크랩하고 싶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본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투자 참고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주관을 포함하여 서술한 글입니다. 따라서
- 절대로! 종목에 대한 매수 /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단순 참고용으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을 알립니다.
- 향후 주가 방향은 내용과 무관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
Read Invest,
Readin Best
beS2always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공매도 금지와 11월 6일 지수 급등를 보고 드는 생각 (0) | 2023.11.06 |
---|---|
[생각] 플랑크톤 같은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0) | 2023.09.22 |
[생각] 편견과 의심 사이 (0) | 2023.08.31 |
[생각] 공부를 강요하는 한국 사회, 10년 후에는 어떨까? (0) | 2023.07.29 |
[생각] 수능 킬러 문항 제거는 오히려 사교육 업계에는 이득이다 (0) | 2023.07.07 |
댓글